지역변수와 필드(멤버변수)의 차이
- 필드와 로컬(지역)변수는 다르다!
- 로컬변수는 메서드 또는 생성자 안에 선언된 변수. 들여쓰기 최소 두번
- 필드(멤버변수)는 클래스 영역에 선언된 변수. 들여쓰기 한번
- 필드에는 접근제한자를 붙일 수 있지만 로컬변수는 아니다
기본(primivite)타입과 참조타입
- 기본 데이터 타입
정수형 int
실수형 double - 참조 타입 (클래스로 부터 나오는 타입, 대문자로 시작)
문자열 String
자바 연산의 최소(기본)단위는 int
- byte로는 연산을 하지 못한다.
- 연산 시 자동으로 int로 변환된다. byte로 받지 못함.
- long변수 = int변수 – int변수 -> int범위로 계산됨! 주의

char 자료형
- 자바는 모든 문자를 유니코드로 표현함.
유니코드: 아스키 코드 확장 - 2byte
- char 타입에 문자를 대입하면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값이 저장된다.
- 유니코드를 직접 대입해도 됨. ex) ch1 = ‘\u0041’
- 빈 문자(”)로 초기화할 수 없다. 공백문자는 가능하다.
- 0~65534 (음수 범위가 존재하지 않는다!!)
long 자료형
- 수치가 큰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ex) 은행 등
- 접미사 ‘L’을 붙인다
- int범위를 넘는 정수의 경우 접미사를 붙여야 한다
- int 범위인 경우 접미사를 생략 가능하다

float 자료형
- float 4바이트(int와 동일), double 8바이트(long과 동일)
- 부동 소수점 방식으로 저장한다
- double이 더 정밀한 값 저장 가능
- 기본 double로 계산됨

e표기법
300 = 3 * 10^2 -> 3e2
3000 = 3 * 10^3 -> 3e3
30000 = 3 * 10^4 -> 3e4
0.3 = 3 * (0.1)^1 => 3e(-1)
0.03 = 3 * (0.1)^2 => 3e(-2)
0.003 = 3 * (0.1)^3 => 3e(-3)
2e-3 => 2 * (0.1)^3 = 0.002
*int에는 e표기법을 사용할 수 없음
기타
이클립스에 파일 import 하는 방법
- 폴더 새로운 워크스페이스로 복사하기
- 이클립스에서 file -> import 선택
- existing 검색 -> import 할 폴더 선택
타입 확인법
- 변수 위 커서, f3 누르기